1/ 부제가 딱 어울리는 책이었다. 이 책의 부제는 '모든 것이 다 있는 시대의 창조적 사고법'이다. 오늘날 어떤 직무이든 정보와 맥락을 다루지 않을 수 없다. 저자인 최혜진 작가는 오랜 기간 잡지 편집자로 활동하며 이를 체계화했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책을 냈다.주변에서 추천이 많았던 책이라 자연스럽게 손에 들게 되었다.

에디토리얼 씽킹/최혜진/터틀넥프레스

 

2/ 책 서두에서 저자는 우리가 만드는 가치란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예술적 질문들은 어떤 새로운 것을 우리가 만들 수 있는가가 아니라 우리가 이미 갖고 있는 것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이다. (p.15) "기존 재료로 인지적 차별점을 만들어내는 편집 능력이 중요해 지며, 삶은 데이터의 축적이 아니라 편집 결과의 축적(p.16)"이라는 말에서 요즘 세상에서의 가치와 창작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상품 마케팅 스터디 모임에서 들었던 "시장(market)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찾아내는 것"이라는 표현과 겹쳐 들렸다. 이미 다양한 것들이 많이 나와있는 현실에서도 대중의 반향을 이끌어내는 새로운 서비스/상품이 나온다. 이런 제품이 나오면 아하~하면서 이런게 있었지라고 무릎을 치게 된다. 그런 것을 만들려면 본인만의 시선으로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잘 편집해서 하나의 완결체로 만들어야 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3/ 저자는 편집이란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고 기억하는 방식으로 정의내린다. 그것을 위해 이미 가지고 있던 정보에 더해 세상을 바라보면서 어떤 부분을 주목하고, 어떤 부분은 무시하며, 어떤 부분은 서로를 연결하고, 어떤 부분은 빈 칸을 채워넣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를 위한 실천법으로 재료수집, 연상, 범주화, 관계와 간격 조정, 재배치 및 재맥락화, 인식과 포지셔닝을 위한 뾰족한 차별점을 만드는 컨셉, 핵심은 잡아내고 군더더기는 배제하는 판단력, 이를 일관된 입장과 관점으로 자신의 주장을 펼쳐내는 프레임, 거기에 설득의 힘을 더하는 좋은 질문과 객관성과 주관성,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시각화를 잡지 편집이라는 경험으로 풀어낸다.

 

4/ 소프트웨어 개발도 비슷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겠다. 세상을 뒤흔들 만한 서비스를 만들고 싶은 개발자들이 많을 것이다. 그래서 새로운 기술을 탐색하고 학습하고 실험한다. 그러나 진정 중요한 것은 새로운 기술을 찾아 내는 것이 아니라 이미 세상에 나온 기술과 개념을 어떻게 엮어내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일지도 모른다. 그런 의미에서 엔지니어들은 기술 서적이나 컨퍼런스에만 머물지 않고, 사람과 세상에 대한 이해를 깊고 넓게 가지기 위한 의도적 탐색을 병행해야 한다.

 

5/ 이 책은 새로운 관점을 얻기 위한 의도적 사고의 수련법을 다룬 책이다. 책을 읽으면서 '의도'라는 키워드가 머리속을 맴돌았다. 나만의 의도를 가지려면, 내가 만든 제품이 세상에서 가치를 가지려면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면서 추려야 할지, 생각의 고리를 모으기 위하여 다양한 시선을 학습하는-창조를 위한  답습?- 과정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다. 세상에서 선택을 받으려면 결국 자신의 관점과 의지를 가져야 한다는 생각에 동감하다 보니 '브랜딩'이라는 키워드로 이어졌다. 이 책은 꼭 편집이나 글을 쓰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읽어야 한다기 보다는 새로운 시대에 지적 사고를 위한 필수적인 능력을 갖추는 교양서적으로 삼을만 하다.

 

6/ 이 책을 읽은 직후 전우성 작가의 '핵심경험론'을 이어서 읽었는데, 두 책 모두 새로운 관점을 발견하고 이를 자신만의 언어로 재구성하는데 대한 저자들의 고민이라는 점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부분이 많았다.

 

7/ 편집은 결국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이다. 넘치는 시대에 필요한 것은 새로움이 아니라 남다른 편집이다.

 

 

 

반응형

아웃사이더님, 박재호님 등 국내에서도 IT 관련 뉴스를 정리하여 메일로 보내주시거나 웹사이트에 올려주시는 분들이 많다. 해커 뉴스 및 기타 새로운 소식을 모아서 올려주는 긱뉴스, 국내 개발자 블로그의 새글을 모아서 매일 보내주는 어썸데브블로그 서비스, SaaS 관련 소식을 전해주는 주간 SaaS도 있다. 이런 뉴스레터를 구독하는 것만으로도 트렌드를 파악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외국에도 비슷한 서비스들이 많은데, 그중 유명한 것이 오라일리의 레이더다. 하지만 영어이니, 읽기를 부담스러워하는 분들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사내에 영문 뉴스레터를 AI도구를 이용하여 한글 번역본으로 만들어 본 썰을 풀어보고자 한다.

 

제일 먼저 시도한 것이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 자체를 구글 번역기로 번역해 보았다. 브라우저에서 메뉴만 선택하면 되므로, 정말 편하다.


원문 브라우저에서 구글 번역. AI가 왜 일체 포함?

 

하지만 보다시피 구글 번역 사이트에 복붙하면 정상으로 나오는 번역 결과도  브라우저에서 구글 번역을 이용하면  이상한 결과물이 얻어진다. 못읽을 정도는 아니지만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많다. 우선 섹션명에서 망했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왜 AI가 일체 포함으로 번역되는지 모르겠다. (예전 구글 번역 처음 나왔을 때 아파치 웹서버 페이지를 인디언 부족으로 번역하던 게 생각나버렸다.)

 

그래서 떠올린 것이  DeepL이었다. 번역 전문 AI서비스이니 품질은 좀 낫겠지 하는 마음에 사용해 보았다.

품질은 조금 좋아지는 수준으로 느껴지지만, DeepL 웹사이트에 뉴스레터를 복붙하니 링크가 다 사라져 버린다. 그러면 뉴스레터의 가치가 떨어진다.

하지만 여기에서 멈출 수는 없지.  이번엔 웹페이지를 PDF 파일로 출력하여, 이를 DeepL에 번역을 요청하였다.

 

 

링크는 살아있지만, 문장이 외려 이상해 졌다. 링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문장을 온전히 번역하지 못하는 것 같다.

 

어쩌지 하던 바로 이 순간 문장을 잘 다루는  GPT가 생각났다.(전설의 요정이 나타나 아이디어를 주었다.)  GPT로  PDF 파일을 올리고 번역을 요청했다. 이때  최종 결과물에서도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  프롬프트에  마크다운 페이지를 만들도록 요구사항을 추가했다.

너는 IT분야 전문가야. 한달동안 IT 관련 소식을 모아둔 뉴스레터 PDF문서를 한글로 번역하고 싶어. 
전문 용어를 사용하되, 한글 문장이 매끄러웠으면 좋겠어.
한문장도 빠짐없이 번역해야 해. 링크는 유지하자.
최종 결과물은 마크다운으로 만들어 줘

꽤 쓸만한 결과물이 나왔다. 하지만 여러 섹션이 있는데, 하나만 번역을 완료하고 계속할지를 물어본다. 그래서 차례대로 진행하라고 시켰더니 단일 지시는 잘 수행했는데, 최종 결과물에는 각각 진행한 결과가 취합되어 있지 않았다. 각각 번역해서 최종 결과를 만들도록 프롬프트를 수정했다. 그리고 번역결과를 보니 영어단어를 쓰는 것이 좋은 단어들도 있어서 마지막에 영어 단어를 병기하도록 지시했다. 하나씩은 잘하는데, 전체적으로 못하는 것을 Lost in The Middle 라고 한다. (중간에 샛길로 빠지기)

서문, AI 등 앞에서 번역했던 분야들이 빠져 있어. 이것을 하나의 문서로 모두 만들자. 그런 다음 옆에 캔버스를 업데이트 해줘.
프로그래밍 분야에도 캔버스의 프로그래밍 섹션에 추가해 줘.
조금 낯선 용어, 아직 일반화되지 않은 언어는 괄호로 원 단어를 추가해 주면 좋겠어. 예를 들어 사용자 맞춤 발화 스타일 지시는 생소한 단어야

 

드디어 다 완성된 결과물을 확인했다.

이제 워드 파일로 만들어서 다운로드 했다.

캔버스 내용을 워드로 만들어서 다운로드 받고 싶어

 

왜 PDF로 바로 만들지 않고 워드 파일로 만들었냐고? GPT는 한글 PDF를 만들때 한글 글꼴 처리가 서툴다. 물론 글꼴 파일을 올리고 그 글꼴을 이용해서 작업하라고 지시할 수도 있지만, 번거로우니 워드 파일로 만들어서 PDF로 출력하는 것이 수월하다고 한다.(자세한 내용은 한빛미디어에서 나온 <챗GPT 일타강사의 직장인 업무 만렙 공략집>의 5장과 6장을 참고하시라.p.145) 며칠전에도 맑은고딕 글꼴을 따로 업로드하면서 PDF를 만들었다. 그럴바에는 차라리 워드로 내려받는게 속편하다. 워드로 내려받고 PDF내보내기를 수행한다.

최종 결과물이다. 훨씬 깔끔하게 뉴스레터가 정리되었다. 링크도 살아있다. 이제 사내에 공유했다!

몇번의 삽질로 최적의 방법을 찾았다. GPTs로 만들고 다음달부터는 그냥 PDF만 올리면 위 작업을 반복 수행하도록 해둔다.

레이더_4월.pdf
0.30MB

오늘의 삽질 끝!

 

참고서적:

 

챗GPT 일타강사의 직장인 업무 만렙 공략집

“챗GPT, 일 잘하는 직장인은 이렇게 쓴다” 대기업 출강 압도적 1위! 일타강사가 알려주는 챗GPT 완벽 활용법

www.hanbit.c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