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사님의 트윗으로 부터 인사이트 출판사의 전자책 서비스 종료 소식을 접했다.  먼저 13년 동안 묵묵히 운영해 온 인사이트에게 독자의 한사람으로서 감사의 마음을 표한다. 인사이트 전자책 서비스는 단순한 전자책 판매 서비스가 아니라 국내 IT 출판 업계의 가장 진보적이고 실험적인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출판사 블로그를 되돌아 보니 2012년 4월 18일 PDF로 전자책 서비스를 시작했다.  Mobi도 아니고 ePub도 아닌 PDF파일을, 그것도 수작업 결제 처리로 전자책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것은 당시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모험이었을 것이다.(만약 내가 사업 담당자라면 이 서비스를 기획한 사람을 싫어했을 것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서비스 철학이었다. 암호도 없고, DRM도 없이 그냥 자유롭게 자신이 좋아하는 뷰어로 볼 수 있도록 PDF 파일을 보내주는 방식. 기술적으로는 단순하지만 사업적으로는 위험한 선택이었음이 분명하다. 하지만 이 점이 인사이트 전자책 서비스의 정체성을 제대로 드러낸다고 생각한다.

 

 

인사이트가 PDF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전자책이 책 세상을 뒤덮을 것 같은 시대에도 꿋꿋이 종이책만 내던 인사이트에서, 드디어 작은 발걸음을 내딛어 봅니다. 바로 PDF 서비스입니다. 아직 시작 단계라서 PDF 뿐이고, 결제도 수동식

blog.insightbook.co.kr

 

13년간 이 서비스가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은 기술력이라기 보다는 철학 때문이리라. 한기성 사장님께 불법적인 PDF 유통이나 허락되지 않은 AI 학습에의 활용이 걱정되지 않느냐고 여쭤본 적이 있었다.  "허허.. 그 분들은 우리 책의 독자가 원래 안될 분이지 않을까요? 오히려 우리 독자분들에게 불편함을 드릴 수는 없지 않나요?"라는 사장님의 말씀에 이 서비스의 본질이 들어있다. 독자와의 신뢰 관계. 고객 중심에서 생각하는 서비스... 단순히 책이라는 상품을 만들어 사고 파는 것이 아니다.

 

개인적으로 미국에서 개발자 생활을 했었는데, 인사이트의 DRM-Free PDF는 정말 소중한 존재였다. 언어의 장벽없이 고급 콘텐츠를 누리고 싶은데, 교보나 예스 24같은 전자책 플랫폼은 당시 해외에서 사용하기에 여러 제약이 있었다. 본인 인증부터 시작해서 느린 인터넷 환경때문에 DRM인증 자체가 실패하거나 국가 제한에 걸려 보지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인사이트의 PDF는 단순히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자유롭게 책을 읽을 수 있는 기쁨을 제공했다. 아이패드든 킨들이든 노트북이든 상관없이 말이다. (하지만 나는 인사이트의 종이책을 너무 사랑해서 한국에 들릴 때마다 잔뜩 사들고 갔다. 한국과 미국을 거쳐 다시 돌아온 나의 책들...)

 

아쉽게도 인사이트의 Free DRM 실험은 IT 출판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지 못했다. 다른 출판사들이 이렇게 못한 이유는 분명하다. 위험 부담이 너무 크고, 수익성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의 확산 속에 허락받지 않은 학습에의 오용도 한 몫했으리라. 하지만 오라일리의 SafariBooks처럼 출판사들이 협력하는 플랫폼이 국내에서도 더 활성화되었으면 좋겠다. 기술적으로는 지금도 충분히 구현가능하지만, 업계의 의지와 독자의 인식 변화가 필요한 부분이다. (아직 AI 학습에 활용하는 문제는 역저자와 출판사, 출판사와 출판사의 권리 관계가 명확히 정리되지 않았다.)

 

비 오는 저녁, 한 시대의 마감을 지켜보며 드는 생각이다. 우리나라가 K-IT Contents 강국이 되는 날이 올 수 있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을 해본다.

 

반응형

"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금머리 케찰이 그려진 웹 API 책/한빛미디어

웹 플랫폼의 진화와 네이티브 API의 중요성

웹이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변한지 꽤 오랜 시간이 되었다. 최근 등장한 PWA(Progressive Web App), WebAssembly, 그리고 수많은 브라우저 네이티브 API 덕분에  웹은 단순한 하이퍼 미디어 문서 뷰어를 넘어 완전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한빛미디어에서 출간된 <실무로 통하는 웹 API>는 오라일리에서 나온 'Web API Cookbook'의 번역서다. 이 책은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제로 실행되는 브라우저라는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웹 API를 상세히 살펴본다. 한글판은 총 324쪽이다.

 

프레임워크에 숨겨진 브라우저 API

대부분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은 리액트나 뷰와 같은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브라우저 API를 직접 살펴볼 기회는 많지 않다. 하지만 이런 프레임워크 역시 내부적으로는 브라우저 네이티브 API를 활용한다. 따라서 프레임워크의 추상화 계층 이면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이해한다면  더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API를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므로 1장 비동기 API를 읽고 나서는 관심가는 API에 해당하는 장을 골라서 읽으면 된다. 

 

이 책에서 다루는 주요 API들

  • 웹 스토리지와 IndexedDB: 클라이언트 사이드 데이터 저장
  • URL 및 라우팅: SPA 라우팅의 기반 기술
  • Fetch API: 현대적인 HTTP 통신
  • DOM과 폼: 웹 개발의 기본이 되는 API
  • 웹 애니메이션: CSS 애니메이션을 넘어서는 고급 애니메이션
  • 웹 컴포넌트: 프레임워크 없이도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작성
  • 파일 API: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처리
  • 성능 API: 웹 앱 성능 측정과 최적화
  • 콘솔 API: 디버깅을 위한 고급 콘솔 기능
  • CSS API: JavaScript로 스타일 제어
  • 웹 스피치 및 미디어: 음성 인식, TTS, 미디어 스트림 처리

 

웹 플랫폼의 놀라운 발전

웹 플랫폼이 정말 많이 발전했다는 걸 실감할 수 있었다. Windows API에서 제공되던 배터리 정보도 이제 Battery Status API로 웹에서 접근할 수 있다. 이는 웹이 단순한 브라우저 환경을 넘어 네이티브 앱과 경쟁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예전에 네트워크 상태나 배터리 API를 사용하던 윈도우 앱을 개발하던 기억이 떠오른다.)

특히 마지막 장에서는 앞으로 도입될  API를 소개하는데, 웹 블루투스, NFC,바코드, 쿠키 저장소, 결제 API 등이 있다. 이 API들이 도입된다면 웹의 플랫폼화, 특히 크로스 플랫폼화가 가속화될 것 같다.

이 책은 웹 플랫폼이 제공하는 API와 기능,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번역/편집의 아쉬움.

한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한빛에서 나온 책임에도 불구하고, 문장이 다른 책에 비해 매끄럽게 번역되지 않았다는 느낌을 준다. 

 예를 들어 109쪽을 보면 "IntersectionObserver의 브라우저 지원은 매우 좋은 편이지만 최신 브라우저를 대상으로 한다면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게으르게 이미지 로딩을 적용할수 있습니다. "라고 되어있다. 조금 더 손을 봐서 "최신 브라우저는 IntersectionObserver를 잘 지원해 주지만,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이미지 지연 로딩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로  번역했다면 좀 더 깔끔했을 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계속 눈에 걸리는 부분이 있다. 너무 아쉽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