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부터 회사 개발자 직군에게 코파일럿에 이어 커서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우리 회사 개발자들은 Copilot, Cursor, Q Developer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나처럼 Cline + Gemini Pro 2.5/MS Azure OpenAI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왕 지원하기로 했으니,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나름 체득한 더 잘 사용할 방법을 정리해 보자.

 

다른 AI도구를 사용하여 명확하고 상세한 계획을 작성한다.

ChatGPT나 Claude를 사용하여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에 대한 질의응답과정을 주고 받는다. 이 과정에서 명확한 지시문을 만드는 것이 좋다. 완성된 버전을 얻게 되면 이 내용을 마크다운 파일로 내려 받아서 코딩 지원 AI에게 전달한다. 한 번에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단계별 분업을 지시하는 것이 코딩 AI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AI가 전체적으로 지켜야할 규칙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 후 기능을 구현하고, 테스트가 통과할 때까지 반복한다. 나는 깔끔한 코드를 좋아한다” 등이 될 수 있다. 커서의 경우.cursorfules 파일에 명시한다. 다른 도구들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 정의 프롬프트에 넣는다. 자신이 좋아하는 아키텍트나 기준이 있으면 명시적으로 지시한다.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둔 규칙 파일도 잘 활용하자. https://github.com/PatrickJS/awesome-cursorrules 에 가면 많이 볼 수 있다.

 

명령이 아니라 생각의 흐름을 프롬프트에 담아 선언적으로 기술한다.

프롬프트도 일종의 코드이다. 다만 AI 코딩 보조 도구를 사용할 때 명령형이 아닌 선언형으로 인식하고 프롬프트를 작성해야 한다.

개발자로서 나의 의도와 생각의 흐름을 AI에게 설명해 줘야 한다. 

AI가 코드를 잘 작성하든 그렇지 않든, 그냥 똘똘한 주니어 사회 초년생에게 지시한다고 생각하고 작성하자.

자주 사용하는 프롬프트는 계속 저장/유지보수해 나가자.

시스템 프롬프트로  공통 요구사항(명확하고 간결한 답변 제시, 대안을 항상 제시, 불필요한 설명 방지(요금 줄이기), 기술적 디테일 우선시) 등을 적용한다.

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도 잘 읽어보자. 이를 정리한 사이트인 https://context7.com/ https://cursor.directory/ 도 참고하자.

 

 

깃으로 코드를 관리하면서 조금씩 점진적으로 코드를 작성한다.

AI가 어디로 튈지 모른다. 튀는 걸 막는 것이 문제라기 보다는 튀기 전의 상태로 복귀시키기가 어려운 것이 문제다.

깃으로 조금씩 변경하고, 항상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 에이전트일 경우 무조건 이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작성하라고 지시한다. 그러면 실패했을 경우 AI가 원인을 분석한 다음 수정한다. 

일단 동작하는 코드를 얻었다면 항상 AI가 작성한 코드를 검토한 다음 커밋한다.

AI가 튀었다면 이전 대화기록을 요약해서 다시 대화를 시작하는게 낫다.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라도....수동 A2A를 이용하자.

A2A가 있지만 아직은 우리가 사용하는 에이전트들끼리 상호 작용을 하지 못한다. 그럼 어떡할 것인가. 수동으로라도 해줘야지.

문제가 발생하면 여러 도구를 사용하자. 문제 원인과 코드를 ChatGPT나 Claude에게 물어보자. 어떻게 고쳐야 하니 물어보면 답해주는 경우가 많다. 물어보는 것도 귀찮으니 커서에게 문제와 관련된 파일 목록, 기능, 문제점을 하나의 보고서로 요약하게 만들자. 이 파일을 다른 AI에게 던져주고 답을 얻는다.

 

알짜정보만 AI에게 제공하자.

맥락 정보가 길면 길수록 AI가 작업을 잘 이해한다. 파일을 참조할 때에는 @를 사용하고, 쓸데없는 중간 파일은 .cursorignore 파일에 정의하여 제외시킨다. 맥락을 유지하면서 계속 일을 잘 할 수 있는게 중요하다. 이 부분에서는 AI로 만화를 그리는 분들은 어떻게 활용하는지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관되게 해당 작업을 개선하는 것은 AI가 의외로 잘하지 못한다.

 

 

결국 적고보니 한마디로 정리된다.

"개발 프로세스에서 코드 작성이라는 영역은 AI에게 맡기더라도 개발자들은 설계와 구조에 좀 더 집중해야 한다."

반응형

    "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1/ 최근 GPT나 각종 AI 도구의 활용법을 다룬 서적을 자주 살펴본다. 나름 회사 내에서 익숙하게 여러 AI도구를  활용하는 편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래도 최근 이 분야에서 변화의 속도는 너무나 빠를 뿐만 아니라 중요한 것은 도구의 사용법 보다는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아는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직장인 업무 만렙 공략집

 

2/ 이번에 읽은 책은 한빛미디어에서 나온 <직장인 업무만렙 공략집>이다. 한마디로 GPT 활용서적을 한번도 읽어보지 않은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시라 권한다. AI도구는 대충 입력하더라도  답변이 그럴 듯하게 나오기 때문에 본인이 도구를 잘 활용하고 있는지를 여부를 잘 모를 수 있다. 자꾸 고수의 사용법을 훔쳐보며 흉내내고 나만의 사용 방식을 찾아야 한다. 골든래빗에서 나온 <이게되네, 챗 GPT 미친 활용법>책도 괜찮았다.

 

3/ AI 활용 서적을 읽다보니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현재 AI서비스의 근간을 이루는 Transformer 모델은 결국 빈 칸을 채워주는 것인데, AI가 채워줄 빈 칸을 잘 전달한다면 원하는 바를 잘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이것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목적이지 않을까 생각했다. 이 책은 빈칸을 어떤 식으로 전달하면 AI가 내 의도를 잘 파악하여 빈칸(원하는 결과)를 채워주는지에 대한 골격(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보고서 작성시 역할-행동-상황-기대 프레임워크 써먹기

 

임무-행동-목표로 지시하기

 

4/ 이 책은 여러가지 활용 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있지만, 읽다보면 이 책이 업무 방법에 대한 내용인지 인공지능에 대한 이야기인지 헷갈린다. 회사에서는 보고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어떤 것을 고려해서 작성해야 하는지, 최종 문서의 구조는 어떤 모양이어야 하며, 잘 작성된 보고서란 무엇인지를 소개한다. 결국 사람에게 업무를 제대로 전달하는 방법과 비슷하다. 그래서 GPT에게 일을 시키는 방법을 배우다 보면 일을 잘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했다.

역할-도출과정-출력 형식-질문 프레임워크: 결국 JD를 적고 지시를 내리는 느낌으로 프롬프트 사용하기

 

5/ 책에서 소개된 경쟁사 제무제표 분석은 MCP를 활용해 봄직하다.라고 생각했는데 DART  MCP 서버가 이미 나왔다. 먼저 업무에 적용해서 활용하는 분들이 많다.

 

반복적인 작업은 GPTs로 - 부서별 성격에 맞게 GPTs 활용하기

 

6/  책을 읽다보니 프롬프트에 적는 '체계적' '창의적'이라는 단어는 AI에서 어떻게 동작할까 하는 궁금점이 생겼다.

 

이 책을 읽고 도움을 받아 만든 오라일리 레이더 뉴스레터 요약기 만든 이야기가 궁금하면 클릭~.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