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지금도 생각하기 싫은 12.3 내란 사태가 있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무슨 생각으로 헌법질서를 유린해가면서 계엄령을 내린 걸까요? 윤석열과 국민의 힘은 민주 공화정이라는 것을 이해는 하는 걸까요? 자신이 왕으로 군림하고 측근을 앉혀 제후 역할을 맡기는 왕당파 집권 세력이었을까요? 특검으로 실체를 낱낱히 밝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후 조국혁신당의 조국 의원이 실형을 선고받았고,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하며 구치소에 수감되었습니다. 가족 내에서도 조국 장관의 모습을 바라보는 시선이 다양합니다만, 저는 조국 장관이 여전히 너무 억울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맘때쯤 우연히 접하게 된 책이 조국 의원의 보좌관이었던 황현선님의 '조국 그리고 민정 수석실'이라는 책입니다.

 

 

집에 조국 의원이 쓴 책도 있지만, 이 책은 조국 의원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함께 일한 동료의 이야기입니다. 서울대 교수였던 조국 의원이 민정 수석이 되고, 그 과정에서 학자의 이상을 펼치기 위해 노력했고, 그 과정에서 겪었던 고충과 고뇌를 담담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각 집권세력별로  정치철학이 있고,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지향점과 그에 따른 정책이 달라지기 마련입니다. 국민들도 호불호가 갈리겠지요. 문재인 정부의 정책을 100% 찬성할 수도 없고, 윤석열 정부의 정책을 100% 반대할 수 없지만, 그래도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왜 그렇게 판단했는지를 고위직 공무원, 특히 정무직이라면 국민들에게 끊임없이 설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정부 인사들은 그런게 전혀 없습니다.

 

조국 장관에 대한 비판이 있을 수 있겠지만, 세상만사 양쪽 입장과 이야기를 다 들어보고 판단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에는 민정수석실의 유재수 감찰 중단 외압 사건, 울산 하명 수사 사건, 조국 일가의 입시 부정 사건에 대해 보좌관이었던 필자의 입장을 들을 수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계속 이름이 나오는 그 이름 '윤석열' 검사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을 지키려했던 문재인 대통령과 조국 정무수석의 마음은 이해하지만, 윤과 같은 정치검사를 걸러내지 못하고 오히려 마이크를 쥐어줬던, 행할 수 있는 조치가 많았음에도 현실에 맞지 않는 원칙으로의 집착이 우리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 부분은 문재인 정부의 인사들이 회고 미팅을 공개적으로 진행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조국이 어떤 고민을 했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결정을 내렸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조국의 혐의에 대한 책 일부를 소개해 봅니다.

 

 

 

 

 

 

 

 

 

 

 

 

요즘 100여년 전의 동학농민혁명을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동학농민군이 백산 봉기에서, 황토현에서 내걸었던 보국안민(補國安民), 제폭구민(除暴救民), 척양척왜(斥洋斥倭). 광제창생(廣濟蒼生)이 21세기에도 여전히 요원해 보이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최근 집회에서의 모습이 마치 보은 취회의 모습이기 때문일까요?

반응형

 

1/ ChatGPT와 같은 여러 AI 도구를 사용할 때 대충 질문해도 그럴듯한 답변이 나와서, 스스로 AI 도구를 잘 사용한다고 착각했었습니다. 그러나 정말 잘 활용하는 분들을 접하면서 그 차이를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여러 질문 프레임워크도 공부하고, AI 도구들의 동작원리에 관한 책들을 참고하여 읽고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다른 전문가들이 일반 회사 업무에 AI도구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관한 책이 나와서 휘리릭 읽었습니다. 

이 정도 활용법을 사람에게 배우려면 커피나 식사라도 대접하면서 옆에서 어떻게 활용하는 방법을 지켜봐야 하겠지만, 책으로 나와있으니 편안하게  시원한 바람을 쐬면서 읽을 수 있었습니다. 주말에 다 읽었네요.

 

2/ 이번에 읽은 책은 골든래빗에서 나온 '이게 되네? 챗GTP' 입니다.  일반 사무 환경에서 GPT를 활용하는 프롬프팅 사례를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다양한 실무 예시를 통해 GPT로 업무 효율성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습니다.

 

3/ 특히 유익했던 부분은 시장 분석 과정을 거쳐 최종 워드 보고서를 작성하는 예제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마크다운 파일을 작성한 후 이를 워드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구글 앱 스크립트를 만들어 활용하는 방식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질문해야 하는지, 어떤 프롬프트를 입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담겨 있어 유용했습니다. (이런 책은 프롬프트가 중요해서 따로 정리해서 공유하진 않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4/ 또한, GPT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하여 질문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추상화된 골격을 만든 후, 추가 질문을 통해 그 안의 빈틈을 채워 나가는 방식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단순히 명령을 내리는 방식이 아닌, 적절한 질문을 통해 GPT의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방식이 좋았습니다.

분석중이라는 메시지를 클릭할 생각을 못했는데, 눌렀을 때 짠 하고 파이썬 코드가 나와서 살짝 놀랬습니다. 분석이 들어가면 결국 파이썬 코드를 작성해서 결과를 얻는 것 같군요.

 

5/ AI로 부터 고급 결과를 얻으려면 고급 질문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관련 기반 지식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충분히 관련된 배경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지만 비로소 AI의 답변이 적절한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끝 부분에 소개된 예제를 통해 학습의 진정한 의미는 결국 좋은 질문을 던지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새삼 또 한 번 느꼈습니다.

 

이게 되네? 챗 GPT. 약간의 오탈자나 이상한 부분이 있어 출판사에 제보했는데 확인후 2쇄에 반영해 주신답니다. 전체적인 총평은 5점 만점에 4점 정도 줄 수 있는 실용서적입니다. 

 

같은 출판사에서 펴낸 치즈님의 <AI페어프로그래밍>은 코파일럿을 개발 업무에 활용하기 위한 입문 서적이었다면, 이 책은 일반 업무에 활용하는 방법을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일독을 권하고, 계속 적용해 보려는 시도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