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hatGPT와 같은 여러 AI 도구를 사용할 때 대충 질문해도 그럴듯한 답변이 나와서, 스스로 AI 도구를 잘 사용한다고 착각했었습니다. 그러나 정말 잘 활용하는 분들을 접하면서 그 차이를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여러 질문 프레임워크도 공부하고, AI 도구들의 동작원리에 관한 책들을 참고하여 읽고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다른 전문가들이 일반 회사 업무에 AI도구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관한 책이 나와서 휘리릭 읽었습니다. 

이 정도 활용법을 사람에게 배우려면 커피나 식사라도 대접하면서 옆에서 어떻게 활용하는 방법을 지켜봐야 하겠지만, 책으로 나와있으니 편안하게  시원한 바람을 쐬면서 읽을 수 있었습니다. 주말에 다 읽었네요.

 

2/ 이번에 읽은 책은 골든래빗에서 나온 '이게 되네? 챗GTP' 입니다.  일반 사무 환경에서 GPT를 활용하는 프롬프팅 사례를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다양한 실무 예시를 통해 GPT로 업무 효율성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습니다.

 

3/ 특히 유익했던 부분은 시장 분석 과정을 거쳐 최종 워드 보고서를 작성하는 예제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마크다운 파일을 작성한 후 이를 워드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구글 앱 스크립트를 만들어 활용하는 방식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질문해야 하는지, 어떤 프롬프트를 입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담겨 있어 유용했습니다. (이런 책은 프롬프트가 중요해서 따로 정리해서 공유하진 않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4/ 또한, GPT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하여 질문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추상화된 골격을 만든 후, 추가 질문을 통해 그 안의 빈틈을 채워 나가는 방식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단순히 명령을 내리는 방식이 아닌, 적절한 질문을 통해 GPT의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방식이 좋았습니다.

분석중이라는 메시지를 클릭할 생각을 못했는데, 눌렀을 때 짠 하고 파이썬 코드가 나와서 살짝 놀랬습니다. 분석이 들어가면 결국 파이썬 코드를 작성해서 결과를 얻는 것 같군요.

 

5/ AI로 부터 고급 결과를 얻으려면 고급 질문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관련 기반 지식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충분히 관련된 배경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지만 비로소 AI의 답변이 적절한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끝 부분에 소개된 예제를 통해 학습의 진정한 의미는 결국 좋은 질문을 던지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새삼 또 한 번 느꼈습니다.

 

이게 되네? 챗 GPT. 약간의 오탈자나 이상한 부분이 있어 출판사에 제보했는데 확인후 2쇄에 반영해 주신답니다. 전체적인 총평은 5점 만점에 4점 정도 줄 수 있는 실용서적입니다. 

 

같은 출판사에서 펴낸 치즈님의 <AI페어프로그래밍>은 코파일럿을 개발 업무에 활용하기 위한 입문 서적이었다면, 이 책은 일반 업무에 활용하는 방법을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일독을 권하고, 계속 적용해 보려는 시도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1/ 만화가 주는 느낌은 일반 텍스트와 다르다. 하지만 왠지 어린이 전용으로 또는 코믹 정도로만 나오고 있다.

그나마 성인콘텐츠에서도 만화가 힘을 받는 부분이 있는데, 학습서였다.

하지만 이번에 읽은 골든래빗의 잡학툰시리즈 첫번째 책은 교양 만화책이다. 그것도 게임에 대한 책.

 

2/더 게임 오리진은 게임에 사용된 무기(양손검,궁수, 성궁, 창), 캐릭터(용사,기사, 슬라임, 고블린,마법사,엘프, 리자드맨, 팔라딘, 좀비, 드루이드, 바드, 광전사, 구울), 아이템(마나, 포션, 코볼트, 현자의 돌, 룬문자, 보물상자, 던전...), 그리고 게임(펄프픽션, 로그라이크게임 등)에 얽힌 재미있는 기원을 만화로 풀어내고 있다. 

 

3/ 게임에 사용되는 비유와 은유, 상징체계의 기원을 생각해보다가 직접 찾아보지는 못했었는데, 나름 항목 정리가 된 책이다. 다만 처음부터 이 책을 읽으면 기본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암호문처럼 느껴질 수도 있겠다. 용어도 용어지만 GOAT 등과 같은 용어를 잘 접하지 않았던 나는 드문드문 인터넷 검색을 하면서 책을 읽었다. 게임 상징을 좋아하던 이에겐 식상한 이야기. 게임을 잘 모르는 이에게 낯선(불친절한) 이야기.

 

4/ 많은 것에 기원이 된 D&D와 DQ에 대해 따로 소개해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다. 아니면 군데군데 한 장이 끝나는 부분에 텍스트로라도 좀 더 상세한 내용이 소개되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시도는 맘에 들고, 계속 이런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으면 하지만,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이 많은 책이다. 

 

----

excerpt.....

 

  • 활은 조준하는 내내 근력이 필요하고, 곡사로 발사하므로 높은 숙련도가 필요.석궁은 기계장치인 만큼 체력소모도 적고 위력이 강해 소총처럼 직접 조준가능하고, 단 몇주간의 훈련만으로 다년간 훈련한 궁병과 엇비슷한 부대를 꾸릴 수 있음. 하지만 느린 장전속도로 석궁은 파비스라는 방패를 들고 다니면서 장전도구를 사용하는 동안 자신을 막아야 함

 -> [neo의 생각]  자꾸 개발 언어에 대한 이야기로 읽혀진다. c++은 근력이 필요하고, 최신 언어들은 개발자의 부담을 언어 스펙으로 구현하여 컴파일러가 더 많은 일을 해서 같은 일을 할 때 짧은 시간의 훈련으로 높은 성취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느낌... 다만 컴파일할때 속도는 느려짐.

  • 게임에 사용되는 상징 체계의  많은 부분들이 던전&드래곤(D&D), 드래곤퀘스크(DQ), 톨킨의 소설에서 나옴
  • 기사는 knight가 아니라 order(수도회)-> order of malta(몰타 기사단) ... 그렇지 헤리포터 불사조 기사단도 order or phoenix 였구나....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