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 인근 야산에서 바람때문에 불이 났다. 지금(월요일)은 완전 진압되어 별 다른 소식이 없지만 이방인인 나에게는 이번 화재 사건의 대처 모습이 다르게 다가온다.




우선 산불이 발생하자, 이 소식을 맨먼저 접한 사람은 우리 가족중 큰 아이이다. 스냅챗으로 친구들로 부터 화재소식을 들었다고 한다. 5분전 쯤 소방차/경찰차가 긴급 출동한 이유를 알게되는 시점이었다.


이후 밖을 보니 파란 하늘에 검은 연기가 나고 있었다. 사실 이때까지만 해도 그렇게 큰 불이 난 줄은 몰랐다. 아이들과 함께 수영장에 가서 놀았으니까... 수영장에 있는데 계속 비행기, 헬리콥터가 날라다니고, 검은 연기도 짙어지고 있었다.


이때 페이스북을 보니, 시에서 긴급 공지 내린 것이 지역 커뮤니티에도 공유되어 있었다. 시청/ 화재당국 트위터를 보기 시작했다. 처음엔 1 에이커(대략 천평)정도가 화재 지역이라고 공지되었다.


잠시 뒤 시 경계를 넘어 더 많은 소방관이 투입되기 시작했다. 이 시점 즈음 재가 집에 날리기 시작했다.


시 당국에서 약 2000명 주민에게 대피령을 내리고, 집으로 가는 길들을 차단하기 시작했다.

- 이미 재난으로 인정된 듯, 페이스북 열자 안전한지 여부를 표시하는 창이 뜨기 시작했다. 안전하다고 표시.

- 적십자에서 인근 고등학교에 임시 쉘터 설치를 완료했다.

- 지역 호텔들에서 각종 혜택을 공지하기 시작했다. 지역 주민에 대한 요금 할인 부터 애완동물과 함께 숙박하였을 때 부과되는 수수료 면제 등이 발표되었다.

- 넥스트도어(지역커뮤니티서비스), 페이스북 카페 등에서 구호 물품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 일부 주민들은 물, 게토레이 등을 소방관들에게 전달하기 시작했다. 이때 소방통제센터는 인근 공원에 차려졌다.

- 페이스북에 자원봉사 맵이 뜬다. 사람들이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적으면 위치정보까지 함께 표시되었다. 거창하진 않지만  한가족 저녁식사  제공, 아이옷 3벌 제공 가능 등 정말 사소한 자원봉사들이 조직화 되었다.

- 결국 400명 이상의 소방관이 투입되어 화재 진압 완료.

- 여전히 시 당국에서는 조사 및 대책 수립 중이다.

- 이후 반스앤노블(서점)에서 결제할 때마다 소방관에게 물을 기부하는데 동참할 것인지를 묻기 시작했다.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당국과 협조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모습들이 감동적이다. 평상시는 잘 못느끼다가 위기상황에서 공동체가 움직이는 것을 보면 선진국은 선진국이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국으로 돌아간다면시민사회영역에서 이런 지역 시민 공동체를 만드는데 참여하고 싶다.



반응형

출처: https://dev.to/lpasqualis/the-5-problem-solving-skills-of-great-software-developers-4e6



큰 문제를 작고 단순한 과제로 분해할 수 있는 능력

병렬적으로 일정을 조율하여 진행하는 능력

사전 요구 조건 관계 등을 이해하기

추상화를 통한 변화 대비하기. 그렇다고 과하게 예측하여 추상화하지 않기

재사용을 고려하기. 

이미 있는 것을 만들지 않기. 또한 새로 만드는 것은 나중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진행하기.

데이터 흐름 관점에서 바라보기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