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사이더님, 박재호님 등 국내에서도 IT 관련 뉴스를 정리하여 메일로 보내주시거나 웹사이트에 올려주시는 분들이 많다. 해커 뉴스 및 기타 새로운 소식을 모아서 올려주는 긱뉴스, 국내 개발자 블로그의 새글을 모아서 매일 보내주는 어썸데브블로그 서비스, SaaS 관련 소식을 전해주는 주간 SaaS도 있다. 이런 뉴스레터를 구독하는 것만으로도 트렌드를 파악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외국에도 비슷한 서비스들이 많은데, 그중 유명한 것이 오라일리의 레이더다. 하지만 영어이니, 읽기를 부담스러워하는 분들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사내에 영문 뉴스레터를 AI도구를 이용하여 한글 번역본으로 만들어 본 썰을 풀어보고자 한다.

 

제일 먼저 시도한 것이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 자체를 구글 번역기로 번역해 보았다. 브라우저에서 메뉴만 선택하면 되므로, 정말 편하다.


원문 브라우저에서 구글 번역. AI가 왜 일체 포함?

 

하지만 보다시피 구글 번역 사이트에 복붙하면 정상으로 나오는 번역 결과도  브라우저에서 구글 번역을 이용하면  이상한 결과물이 얻어진다. 못읽을 정도는 아니지만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많다. 우선 섹션명에서 망했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왜 AI가 일체 포함으로 번역되는지 모르겠다. (예전 구글 번역 처음 나왔을 때 아파치 웹서버 페이지를 인디언 부족으로 번역하던 게 생각나버렸다.)

 

그래서 떠올린 것이  DeepL이었다. 번역 전문 AI서비스이니 품질은 좀 낫겠지 하는 마음에 사용해 보았다.

품질은 조금 좋아지는 수준으로 느껴지지만, DeepL 웹사이트에 뉴스레터를 복붙하니 링크가 다 사라져 버린다. 그러면 뉴스레터의 가치가 떨어진다.

하지만 여기에서 멈출 수는 없지.  이번엔 웹페이지를 PDF 파일로 출력하여, 이를 DeepL에 번역을 요청하였다.

 

 

링크는 살아있지만, 문장이 외려 이상해 졌다. 링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문장을 온전히 번역하지 못하는 것 같다.

 

어쩌지 하던 바로 이 순간 문장을 잘 다루는  GPT가 생각났다.(전설의 요정이 나타나 아이디어를 주었다.)  GPT로  PDF 파일을 올리고 번역을 요청했다. 이때  최종 결과물에서도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  프롬프트에  마크다운 페이지를 만들도록 요구사항을 추가했다.

너는 IT분야 전문가야. 한달동안 IT 관련 소식을 모아둔 뉴스레터 PDF문서를 한글로 번역하고 싶어. 
전문 용어를 사용하되, 한글 문장이 매끄러웠으면 좋겠어.
한문장도 빠짐없이 번역해야 해. 링크는 유지하자.
최종 결과물은 마크다운으로 만들어 줘

꽤 쓸만한 결과물이 나왔다. 하지만 여러 섹션이 있는데, 하나만 번역을 완료하고 계속할지를 물어본다. 그래서 차례대로 진행하라고 시켰더니 단일 지시는 잘 수행했는데, 최종 결과물에는 각각 진행한 결과가 취합되어 있지 않았다. 각각 번역해서 최종 결과를 만들도록 프롬프트를 수정했다. 그리고 번역결과를 보니 영어단어를 쓰는 것이 좋은 단어들도 있어서 마지막에 영어 단어를 병기하도록 지시했다. 하나씩은 잘하는데, 전체적으로 못하는 것을 Lost in The Middle 라고 한다. (중간에 샛길로 빠지기)

서문, AI 등 앞에서 번역했던 분야들이 빠져 있어. 이것을 하나의 문서로 모두 만들자. 그런 다음 옆에 캔버스를 업데이트 해줘.
프로그래밍 분야에도 캔버스의 프로그래밍 섹션에 추가해 줘.
조금 낯선 용어, 아직 일반화되지 않은 언어는 괄호로 원 단어를 추가해 주면 좋겠어. 예를 들어 사용자 맞춤 발화 스타일 지시는 생소한 단어야

 

드디어 다 완성된 결과물을 확인했다.

이제 워드 파일로 만들어서 다운로드 했다.

캔버스 내용을 워드로 만들어서 다운로드 받고 싶어

 

왜 PDF로 바로 만들지 않고 워드 파일로 만들었냐고? GPT는 한글 PDF를 만들때 한글 글꼴 처리가 서툴다. 물론 글꼴 파일을 올리고 그 글꼴을 이용해서 작업하라고 지시할 수도 있지만, 번거로우니 워드 파일로 만들어서 PDF로 출력하는 것이 수월하다고 한다.(자세한 내용은 한빛미디어에서 나온 <챗GPT 일타강사의 직장인 업무 만렙 공략집>의 5장과 6장을 참고하시라.p.145) 며칠전에도 맑은고딕 글꼴을 따로 업로드하면서 PDF를 만들었다. 그럴바에는 차라리 워드로 내려받는게 속편하다. 워드로 내려받고 PDF내보내기를 수행한다.

최종 결과물이다. 훨씬 깔끔하게 뉴스레터가 정리되었다. 링크도 살아있다. 이제 사내에 공유했다!

몇번의 삽질로 최적의 방법을 찾았다. GPTs로 만들고 다음달부터는 그냥 PDF만 올리면 위 작업을 반복 수행하도록 해둔다.

레이더_4월.pdf
0.30MB

오늘의 삽질 끝!

 

참고서적:

 

챗GPT 일타강사의 직장인 업무 만렙 공략집

“챗GPT, 일 잘하는 직장인은 이렇게 쓴다” 대기업 출강 압도적 1위! 일타강사가 알려주는 챗GPT 완벽 활용법

www.hanbit.co.kr

 

반응형

지난 주 탄핵선고가 나면서 그나마 한숨 돌리게 되었다. 이제 일상으로 돌아와서 책을 좀 읽어야지 하는 마음으로 신간서적들을 살펴보았다.

물론 언제나 그렇지만, 이 책들을 바로 주문하지는 않고 한동안 장바구니에 넣어둘 생각이다. (그렇게 장바구니에 들어있는 책이 90만원을 넘었다.) 사둔 책들을 읽고 나면 하나씩 큐를 비울 생각이다.

 

이번에 살펴보니, 최근  구현보다는 아키텍트에 관한 책들이 많이 출간되는 것 같다. 내 눈길을 사로잡은 책들을 중심으로 리스트를 작성해 본다.

 

1. 30가지 패턴으로 배우는 분산시스템 설계와 구현

역시 기본기를 다지는데 좋은 책들을 골라내는 인사이트 출판사에서 번역한 책이다. 4월 11일이면 며칠뒤에 나올 모양이다. 분산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패턴을 데이터 복제/파티션/분산 시간/클러스터 관리/노드간 통신으로 나눠 소개한다. 이 책은 XP, 리팩터링, DSL로 유명한 마틴파울러의 시그니처 시리즈 중 하나이다. 이 책에 소개된 패턴들은 여기에 소개되어 있다. 꽤 끌림이 강한 책이다.

 

 

30가지 패턴으로 배우는 분산 시스템 설계와 구현 기법 - 예스24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GCP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비스에 의존한다. 또한 분산 환경의 카프카, 쿠버네티스 같은 제품이나 유가바이트DB, 카산드라, 몽고DB,

www.yes24.com

 

2. 모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책만에서 나오는 책이다. 박재호님이 번역한 책이라 편안히 잘 읽힐 것 같다.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 우리 개발자들이 어디에 방점을 찍어야 할지 잠시 고민했던 적이 있다. 이 책의 부제는 Doing What Works to Build Better Software Faster인데, 개발자마다 build, better, faster 중 어느 것을 강조하는지가 달랐다. 3부에서는 응집도, 관심사 분리, 모듈성, 추상화, 결합도를 다루는데, 이건 소프트웨어를 만들때설계한 구조를 다시금 돌아보게 되는 잣대가 된다. 드문드문 원서를 읽었었는데, 한글판도 읽어봐야 겠다.

 

 

모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 예스24

AI 열풍이 불어도 개발자의 역량과 지식은 여전히 중요하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변함없이 살아남아야 할 당신을 위해 단단한 기본기와 힘을 만들어 줄 책! 소프트웨어 개발의 복잡함과 난해

www.yes24.com

 

3. 이펙티브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길벗에서 나온 책이다.  저자인 골드만님은 Dr.Dobbs에 글을 많이 싣던 분이다. 차례로 봐서는 구체적인 기술을 다룬다기 보다는 아키텍트 구조를 잡아가는데 필요한 여러가지를 개략적으로 다룬 책 같다. 아키텍트가 되기 위한 가이드/로드맵 같은 책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펙티브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예스24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개념과 기본 원칙을 담고 있는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필수 가이드!소프트웨어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이 과

www.yes24.com

 

4.이펙티브 소프트웨어 설계

위키북스에서 나온 책인데, 원제와 전혀 다른 이름의 책이다. 원제를 그대로 번역하면 소프트웨어 구현상 실수들과 절충안들인데, 세부 기술보다는 시스템을 설계할 때 자주 하게 되는 실수와 해결 방안(패턴)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응? 그런데 이 책도 박재호님이 번역한 책이다. 자바를 기반으로 설명한다.

 

이펙티브 소프트웨어 설계 - 예스24

소프트웨어 개발의 난제, 트레이드오프 관점에서 해법을 찾다!『이펙티브 소프트웨어 설계』는 애플리케이션 설계, 계획, 구현에 관한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법을 알려준다. 잘못된 트

www.yes24.com

 

5.플랫폼 엔지니어링

개인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제일 부족한 개발 부분이 플랫폼이라 생각한다.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것에는 우리나라의 수준도 만만치 않은데, 쉽게 요구사항을 구현하고 저렴하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공통된 기능을 추려서 플랫폼으로 만드는 것이 필수라 생각하는데, 아직 경험과 지식이 부족하다. 이 책이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한빛에서 나왔고, 류광님이 번역했다.

 

 

플랫폼 엔지니어링 - 예스24

데브옵스의 한계를 넘어,플랫폼 엔지니어링으로 미래를 설계하라지난 25년간 소프트웨어 조직들은 한 가지 지속적인 과제와 씨름해 왔다. 바로 여러 팀이 공유하는 코드와 도구, 인프라를 어떻

www.yes24.com

 

6.LLM 서비스 설계와 최적화

한빛에서 나온 책이고, 최근 회사에서 LLM을 이용한 서비스를 만든 적이 있어서 살펴볼 생각이다. Wiley출판사에서 나온 책이니 어느정도 기본적인 수준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LLM서비스.. 휴우.. 구축하고 보니 돈이 많이 들어간다. 최적화안하면 뭔가 서비스 만족도도 떨어지고, 비용은 비용대로 나갈 것 같아서 살펴볼 생각이다. 아 그러고 보니 똑같은 고민으로 한빛에서 나온 NLP와 LLM 실전 가이드도 구매했었네; 언제 다 읽을 수 있을까;

 

LLM 서비스 설계와 최적화 - 예스24

생성형 AI의 경쟁력을 높이는 LLM 최적화 전략AI와 머신러닝의 발전으로 거대 언어 모델(LLM)에 대한 관심은 급증했지만, 높은 비용 때문에 수많은 기업이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 이 책은 적은 비용

www.yes24.com

 

7. 그린 소프트웨어

제이펍에서 나온 책이다.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때문에 눈길을 주게된다. 하지만 내용이 도움이 될런지에 대해 아주 강한 확신이 들지는 않는다. 탄소 배출 이런 것이 차례에 나오는데, 이렇게 되면 ESG 경영처럼 거대 담론으로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지속가능성이라는 말을 너무 좋아한다. 소프트웨어는 한번 나오면 끝이 아니라 계속 굴려가면서 성장시켜야 하기에 지속 가능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시간이 되면 읽어봐야 겠다.

 

 

그린 소프트웨어 - 예스24

코드 한 줄로 지구를 살리는 시대, 지속 가능한 소프트웨어로 미래를 지키자 이 책은 전력망의 변화부터 클라우드 운영 방식까지, 친환경 소프트웨어가 환경과 비즈니스 모두에 미치는 영향을

www.yes24.com

 

 

사실 읽어본 책들을 추천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시간을 표지와 차례로 훑는 것이라 크게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지만... 그래도 큐레이션 하는 느낌으로 정리해 봤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