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코인 거래를 하지 않는다. 한번도 해보지 않았다. 기술적인 이슈를 떠나 왠지 코인, 비트코인은 합법의 영역에 있는 도박과 유사한 그 무언가로 느껴지기 때문이다. (사실 이러한 태도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서는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분산 원장 기술인 블록체인의 가능성을 보려면 코인을 해보는 것도 괜찮겠다..라고 이성적으로 생각하지만, 신기하게도 감성적으로 거부 반응이 있다.)

 

그런 와중에 대학 선배인 H형을 오랜만에 만났는데 이런 저런 이야기 속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낙관적, 긍정적 전망을 설파하다가 괜찮은 책이 있다고 보내줬다. 비트코인에 관심이 없다보니 그냥 책장에 넣어두었는데 이번 여름 휴가때 읽어보았다.

이 책은 코인 투자나 전망을 이야기하는 책이라기 보다는 화폐라는 관점에서 비트코인을 바라본다.

 

흥미로운 몇 꼭지를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을 통해 인류는 익명으로 소통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비즈니스를 꾸려 나가려면 화폐가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비트코인을 바라보기 시작한다. 물론 한국은행과 같은 중앙 관리 기관에서 화폐를 발행할 수도 있지만, 그러면 그 발행기관이 곧 단일 실패지점이 된다는 주장을 펼친다.

화폐는 가치 있는 소장품으로의 단계를 거쳐, 부를 저장하는 단계, 부를 교환하는 매개수단 단계, 가치 척도의 단계를 거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금도 비슷한 과정을 겪어 왔다고.  그래서 저자는 비트코인이 지금은 부를 교환하는 매개수단으로서의 역할과 가치만 부각되는데, 소장 단계를 거칠 것이라 주장한다.

 

100쪽 남짓한 분량으로, 그동안 생각해 보지 않았던 화폐의 역할과 역사를 살펴본다는 측면에서 꽤 흥미롭게 읽었다. 책을 읽고난 지금도 화폐에 대해 잘 이해한다고 말하지는 못하겠지만, '화폐'라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책임은 틀림없다.

화폐에 관해 좀 더 쉽고 자세히 설명한 책을 살펴보아야겠다.

 

 

반응형

 

    "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책 표지가 꼬깃꼬깃해졌다. 너덜너덜해질 때까지 봐야겠다.

 

 

요즘 개발자들은 머신러닝과 생성형 AI에 대해 대부분 찍먹을 시도합니다. 하지만 지금껏 나온 많은 책들이 엄청난 수식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그래서 작심삼일이 되기 쉽죠. 개념 이해도 만만찮은데 수식까지.. 그런데 이 책은 매우 실용적인 관점을 잘 지키고 있는, 정말 개발자를 위한 핸즈온 서적입니다.

나중에 저자의 면면을 살펴보니 허깅페이스 개발자들이 적은 책이네요. 역시 하수는 어려운 걸 어렵게, 쉬운 걸 어렵고, 중수는 어려운 걸 어렵게 쉬운걸 쉽게, 상수는 어려운 것도 쉽게 풀어낸다고 하더니... 트랜스포머 모델과 디퓨전 모델을 정말 쉽게(!-상대적으로) 설명해 줍니다.

생성형 AI라고 적혀 있지만,  트랜스포머 모델과 디퓨젼 모델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는 몇번 구글 스터디 잼이나 다른 책들을 통해 트랜스포머에 대해서는 조금 이해하고 있었는데, 책을 읽다보니 이 모델를 활용하여 어떤 식으로 이미지를 설명하는지를 정말 평이한 말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물론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어렵지만, 전체적인 그림을 이해하고 난 뒤 디테일한 기술과 수식의 영역으로 빠져들 수 있게 가이드하는 내용 구성이 이 책의 가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 책을 보기 전에 접했던, 역시나 한빛미디어에서 비슷한 시기에 나온 <핸즈온 LLM>이라는 책이 있는데, 이 두 권이 정말 좋네요. 핸즈온 씨리즈의 개념을 오라일리가 잘 뽑아냈고, 한빛이 매끄럽게 우리말로 잘 풀어서 책으로 엮었네요. 

파이썬의 기본 문법과 LLM/GenAI의 기본 개념을 살짝 맛본 다음에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하여 기반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책을 찾고 있다면 <핸즈온 LLM>과 <핸즈온 생성형AI> 이 두권을 권합니다. 내용은 어렵지만, 이렇게 쉽게 개념 이해를 도와주는 책을 찾기가 쉽지 않네요. 책 표지가 꼬깃꼬깃해졌는데, 너덜너덜해질 때까지 봐야할 책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