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1/ 최근 GPT나 각종 AI 도구의 활용법을 다룬 서적을 자주 살펴본다. 나름 회사 내에서 익숙하게 여러 AI도구를  활용하는 편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래도 최근 이 분야에서 변화의 속도는 너무나 빠를 뿐만 아니라 중요한 것은 도구의 사용법 보다는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아는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직장인 업무 만렙 공략집

 

2/ 이번에 읽은 책은 한빛미디어에서 나온 <직장인 업무만렙 공략집>이다. 한마디로 GPT 활용서적을 한번도 읽어보지 않은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시라 권한다. AI도구는 대충 입력하더라도  답변이 그럴 듯하게 나오기 때문에 본인이 도구를 잘 활용하고 있는지를 여부를 잘 모를 수 있다. 자꾸 고수의 사용법을 훔쳐보며 흉내내고 나만의 사용 방식을 찾아야 한다. 골든래빗에서 나온 <이게되네, 챗 GPT 미친 활용법>책도 괜찮았다.

 

3/ AI 활용 서적을 읽다보니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현재 AI서비스의 근간을 이루는 Transformer 모델은 결국 빈 칸을 채워주는 것인데, AI가 채워줄 빈 칸을 잘 전달한다면 원하는 바를 잘 얻을 수 있지 앟을까? 이것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목적이지 않을까 생각했다. 이 책은 빈칸을 어떤 식으로 전달하면 AI가 내 의도를 잘 파악하여 빈칸(원하는 결과)를 채워주는지에 대한 골격(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보고서 작성시 역할-행동-상황-기대 프레임워크 써먹기

 

임무-행동-목표로 지시하기

 

4/ 이 책은 여러가지 활용 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있지만, 읽다보면 이 책이 업무 방법에 대한 내용인지 인공지능에 대한 이야기인지 헷갈린다. 회사에서는 보고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어떤 것을 고려해서 작성해야 하는지, 최종 문서의 구조는 어떤 모양이어야 하며, 잘 작성된 보고서란 무엇인지를 소개한다. 결국 사람에게 업무를 제대로 전달하는 방법과 비슷하다. 그래서 GPT에게 일을 시키는 방법을 배우다 보면 일을 잘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했다.

역할-도출과정-출력 형식-질문 프레임워크: 결국 JD를 적고 지시를 내리는 느낌으로 프롬프트 사용하기

 

5/ 책에서 소개된 경쟁사 제무제표 분석은 MCP를 활용해 봄직하다.라고 생각했는데 DART  MCP 서버가 이미 나왔다. 먼저 업무에 적용해서 활용하는 분들이 많다.

 

반복적인 작업은 GPTs로 - 부서별 성격에 맞게 GPTs 활용하기

 

6/  책을 읽다보니 프롬프트에 적는 '체계적' '창의적'이라는 단어는 AI에서 어떻게 동작할까 하는 궁금점이 생겼다.

 

반응형

작년 말..지금도 생각하기 싫은 12.3 내란 사태가 있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무슨 생각으로 헌법질서를 유린해가면서 계엄령을 내린 걸까요? 윤석열과 국민의 힘은 민주 공화정이라는 것을 이해는 하는 걸까요? 자신이 왕으로 군림하고 측근을 앉혀 제후 역할을 맡기는 왕당파 집권 세력이었을까요? 특검으로 실체를 낱낱히 밝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후 조국혁신당의 조국 의원이 실형을 선고받았고,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하며 구치소에 수감되었습니다. 가족 내에서도 조국 장관의 모습을 바라보는 시선이 다양합니다만, 저는 조국 장관이 여전히 너무 억울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맘때쯤 우연히 접하게 된 책이 조국 의원의 보좌관이었던 황현선님의 '조국 그리고 민정 수석실'이라는 책입니다.

 

 

집에 조국 의원이 쓴 책도 있지만, 이 책은 조국 의원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함께 일한 동료의 이야기입니다. 서울대 교수였던 조국 의원이 민정 수석이 되고, 그 과정에서 학자의 이상을 펼치기 위해 노력했고, 그 과정에서 겪었던 고충과 고뇌를 담담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각 집권세력별로  정치철학이 있고,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지향점과 그에 따른 정책이 달라지기 마련입니다. 국민들도 호불호가 갈리겠지요. 문재인 정부의 정책을 100% 찬성할 수도 없고, 윤석열 정부의 정책을 100% 반대할 수 없지만, 그래도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왜 그렇게 판단했는지를 고위직 공무원, 특히 정무직이라면 국민들에게 끊임없이 설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정부 인사들은 그런게 전혀 없습니다.

 

조국 장관에 대한 비판이 있을 수 있겠지만, 세상만사 양쪽 입장과 이야기를 다 들어보고 판단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에는 민정수석실의 유재수 감찰 중단 외압 사건, 울산 하명 수사 사건, 조국 일가의 입시 부정 사건에 대해 보좌관이었던 필자의 입장을 들을 수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계속 이름이 나오는 그 이름 '윤석열' 검사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을 지키려했던 문재인 대통령과 조국 정무수석의 마음은 이해하지만, 윤과 같은 정치검사를 걸러내지 못하고 오히려 마이크를 쥐어줬던, 행할 수 있는 조치가 많았음에도 현실에 맞지 않는 원칙으로의 집착이 우리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 부분은 문재인 정부의 인사들이 회고 미팅을 공개적으로 진행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조국이 어떤 고민을 했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결정을 내렸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조국의 혐의에 대한 책 일부를 소개해 봅니다.

 

 

 

 

 

 

 

 

 

 

 

 

요즘 100여년 전의 동학농민혁명을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동학농민군이 백산 봉기에서, 황토현에서 내걸었던 보국안민(補國安民), 제폭구민(除暴救民), 척양척왜(斥洋斥倭). 광제창생(廣濟蒼生)이 21세기에도 여전히 요원해 보이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최근 집회에서의 모습이 마치 보은 취회의 모습이기 때문일까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