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친구들이다. 잘나가던 라인에서 독립(?)해서 일의 의미를 찾는 그룹이라니...

페이스북 친구였던 분의 포스트로 인해 우연찮게 읽게 된 글인데.. 처음 책 소개글을 보고 선입견때문에 외국 이야기인 것으로 생각했다. (내면에 가진 편향성이라니....) 밥벌이의 비루함을 느끼는 분들이라면 새로운 고민과 함께 에너지를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이 많다.

 

책 내용 보다는 그들의 고민을 소개하는 것이 더 유용할 것 같다. 그들의 건투를 빈다. 나도 좀 더 주체적으로 내 일하는 방식과 태도를 찾아야 할 것 같다.

 

프리워커스: 모빌스 그룹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1348331

--------------------------

 

 

 

As Slow As Possible

Small Work Big Money

 

 

'지금껏 일해온 방식에 문제라도 있나?' '새로운 방식으로 일할 수는 없을까'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으니 가는 건 무의미하다'라는 생각과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지만 가보자'라는 생각 사이에는 아주 큰 차이가 있다. - 츠즈키 교이치 <권외 편집자>

 

자발적으로 행동하지 못하는 무능력이 무력감의 뿌리 - 에리히 프롬 <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 하는가>

 

테일러 피어슨 ,직업의 종말: 인간의 핵심 동기는 돈, 자유, 의미

 

기록의 시작은 엉성할 수록 좋다. 기록이 쌓인 후 만들어진 것과 비교했을 때의 낙차로 결과물은 더 빛난다.

자신의 숨겨진 욕망을 알았다면 다음은 욕망을 기준삼아 앞으로의 좌표를 찍어보고, 이를 주기적으로 측정해 보는 것. 욕망은 변한다.

 

회사를 떠나 새로운 일을 꾸미면서 '무슨 일을 할지'보다 '어떤 태도로 일할 것인지'에 대해 더 많이 생각했다.

'자유' 단지 속박으로부터의 해방만을 의미하진 않는다. 보다 적극적으로, 주체적으로 자기 방식을 찾아 나설 때 얻을 수 있는 가치.

반응형

요 며칠 재미있게 <유닉스의 탄생>을 읽었다. 벨연구소에 모인 개발자들이 유닉스를 만들면서 이루어진 IT의 역사. 한편의 IT 수호지인 셈이다.

 

 

멀틱스는 두번째 시스템 효과(second system effect)의 희생양이었다. 성공한 시스템이 나온후에는 모두가 좋아하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동시에 원래 시스템에 남아있는 모든 문제를 해결한 시스템을 만들려는 유혹에 빠지기 쉽다. 동시에 너무 많고 다양한 일에 도전하면 결국 지나치게 복잡한 시스템을 만들게 된다....over-engineering...
우리는 모두 직접 개발한 소프트웨어의 사용자였고, 이는 소프트웨어를 개선하게 하는 진정한 동기가 됐다.....


우리가 인터넷 사업에 조금이라도 발을 담그려면 이 영역에서 재빨리 행동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일을 즐기고 동료와 즐거움을 나는 것은 중요하다.....


우리가 지키고자 했던 것은 그저 프로그래밍을 하기에 좋은 환경이 아니라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었습니다.

 

읽다보면 인물 이야기도 중간중간에 나오는데, 개인적으로 에릭 슈미츠가 더 놀라웠다. 구글 CEO였던 그가 예전에 lex개발에 참여했던 개발자였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는데.. 책에 소개된 일화는 ...나같은 필부는 따라갈 수 없는 영역이다.

 

"Lex의 첫번째 버전을 만든 직후, 여름 인턴으로 들어온 에릭 슈미츠가 재작성했습니다."

 

그외에도 유닉스 도구와 파이프 개념 등이 등장하게 된 배경 이야기를 접할 수 있어서 재미있게 읽었다.

별점은 4.5. <해커, 광기의 랩소디>와 같이 읽으면 재미있을 것 같다.

이어서 읽을 예정인 책은 동일 저자(브라이언 커니헨-TCPL 저자이자 awk, AMPL,C언어 등을 만든 미국컴퓨팅 3현중 1인)의 <숫자가 만만해 지는 책>.... 그 사이에 다른 책 잠시 읽고...

 

Brian Kernighan의 책 목록/원서

https://www.amazon.com/gp/product/B07ZQHX3R1

 

UNIX: A History and a Memoir

UNIX: A History and a Memoir

www.amazon.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