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1/ 최근 GPT나 각종 AI 도구의 활용법을 다룬 서적을 자주 살펴본다. 나름 회사 내에서 익숙하게 여러 AI도구를  활용하는 편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래도 최근 이 분야에서 변화의 속도는 너무나 빠를 뿐만 아니라 중요한 것은 도구의 사용법 보다는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아는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직장인 업무 만렙 공략집

 

2/ 이번에 읽은 책은 한빛미디어에서 나온 <직장인 업무만렙 공략집>이다. 한마디로 GPT 활용서적을 한번도 읽어보지 않은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시라 권한다. AI도구는 대충 입력하더라도  답변이 그럴 듯하게 나오기 때문에 본인이 도구를 잘 활용하고 있는지를 여부를 잘 모를 수 있다. 자꾸 고수의 사용법을 훔쳐보며 흉내내고 나만의 사용 방식을 찾아야 한다. 골든래빗에서 나온 <이게되네, 챗 GPT 미친 활용법>책도 괜찮았다.

 

3/ AI 활용 서적을 읽다보니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현재 AI서비스의 근간을 이루는 Transformer 모델은 결국 빈 칸을 채워주는 것인데, AI가 채워줄 빈 칸을 잘 전달한다면 원하는 바를 잘 얻을 수 있지 앟을까? 이것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목적이지 않을까 생각했다. 이 책은 빈칸을 어떤 식으로 전달하면 AI가 내 의도를 잘 파악하여 빈칸(원하는 결과)를 채워주는지에 대한 골격(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보고서 작성시 역할-행동-상황-기대 프레임워크 써먹기

 

임무-행동-목표로 지시하기

 

4/ 이 책은 여러가지 활용 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있지만, 읽다보면 이 책이 업무 방법에 대한 내용인지 인공지능에 대한 이야기인지 헷갈린다. 회사에서는 보고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어떤 것을 고려해서 작성해야 하는지, 최종 문서의 구조는 어떤 모양이어야 하며, 잘 작성된 보고서란 무엇인지를 소개한다. 결국 사람에게 업무를 제대로 전달하는 방법과 비슷하다. 그래서 GPT에게 일을 시키는 방법을 배우다 보면 일을 잘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했다.

역할-도출과정-출력 형식-질문 프레임워크: 결국 JD를 적고 지시를 내리는 느낌으로 프롬프트 사용하기

 

5/ 책에서 소개된 경쟁사 제무제표 분석은 MCP를 활용해 봄직하다.라고 생각했는데 DART  MCP 서버가 이미 나왔다. 먼저 업무에 적용해서 활용하는 분들이 많다.

 

반복적인 작업은 GPTs로 - 부서별 성격에 맞게 GPTs 활용하기

 

6/  책을 읽다보니 프롬프트에 적는 '체계적' '창의적'이라는 단어는 AI에서 어떻게 동작할까 하는 궁금점이 생겼다.

 

반응형

지난 11월~12월 두 달동안 매 주 저녁에 모여 회사 동료들과 함께 AWS 서비스를 훑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AWS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리더 자리를 지키기 위해 정말 다양한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내놓고 있습니다. AWS의 업데이트 소식만 다루는 주간 뉴스레터나 팟캐스트가 있을 정도니깐요.

 

이번에 사내에서 진행한 스터디의 핵심 방향은 현 시점에서 AWS 서비스에 대한 전체적인 오버뷰를 업데이트하자는 것이었습니다. 저희 회사는 서버리스 아키텍트를 기반으로 AWS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AWS를 잘 사용하고 세부적인 내용도 잘 알고 있지만, 늘 일상적으로 하던 작업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으로만 사용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전체를 훑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스터디를 시작할 때 즈음에 한빛미디어에서 AWS 입문서적이 두 권 출간되었습니다. '시작! AWS'를 주 교재로 삼고 '소플의 처음만난 AWS'를 보조 교재로 삼았습니다. 제 경우 첫번째 책은 전자책으로, 두번째 책은 종이책으로 마련했습니다.

 

두 책의 접근법은 확연히 다릅니다.

'시작!AWS'는 일본서적이라 서비스의 종류별로 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어떤 것이 있는지, 해당 서비스 도메인에서 알아두어야 할 개념어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잘 정리해 둔 책이었습니다. AWS 서비스 전반을 훑어보기에 좋은 책이라 생각합니다..

'소플의 처음 만난 AWS' 는 스텝-바이-스텝으로 단계별로 어떻게 사용해 볼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책이었습니다. 풍부한(과할 정도로?) 자세한 단계 설명이 두께로 보여집니다. 자세한 그림이 제공되지만, AWS 역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에 화면과의 차이도 생각하면서 봐야 합니다. 다루는 서비스들은 우리나라에서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꼭 필요한 것들을 추려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서비스가 있는지 궁금하다면 '시작!AWS'를, 실제로 프리티어로 체험해 보면서 AWS를 찍먹해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소플의 처음만난 AWS'가 적절해 보입니다. (하지만 소플 책 너무 두껍습니다.)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AWS 서비스 자체보다는 해당 서비스가 기존 어떤 서비스나 어떤 컴포넌트를 모사하여 서비스화했는지를 중점적으로 이야기 나눴습니다. 그래서 저희의 스터디 목적에는 '시작!AWS'가 보다 적절했습니다. AWS 공부를 시작하실 분들의 책 선택에 도움이 되었기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