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의 김영욱 PM의 책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북콘서트에 참석했다. 김영욱 PM의 브런치(링크)야 워낙 유명한데, 업계 선배의 입장에서  후배 PM들에게  일종의 Primer(기본기)를 정리한 우리나라 사람이 쓴 책을 전해주고 싶어 1년 정도 고민하면서 쓰신 책이라 한다.

북콘서트는 프로덕트 매니지먼트를 강의하듯 진행했다기 보다는 책을 쓸 시점에 고민했던 사고의 흐름을 차분히 조분조분 설명해 주셨다. 책 차례를 보면서 PM 이야기를 하려할 때 왜 이런 순서로 엮었는지를 이야기해주셨다. 하필이면 메모장을 가져가지 않은 날이어서, 급히 (사인 받을) 책 한 권을 구매하고 띄지에 김영욱 PM의 이야기들을 몇몇 적었다.  아직 책을 읽기 전이라 김영욱 PM이 한 이야기중 중 몇가지만 소개해 본다. (만약 영욱 PM의 주장과 배치되는 부분이 있으면 그것은 전적으로 내가 잘못 이해한 것이다. :) )

한빛미디어에서 나온 김영욱PM의 <Product Management>

 


세상의 문제는 답이 있는 퍼즐과 정해진 답이 없는 미스터리가 있다. 세상에 복잡해져서 미스터리성 문제들이 남아있다. 미스터리를 푸는 방법은 프레임을 만들고, 그것을 좁혀가면서 답을 찾아가는 것.

워터폴과 애자일: 둘이 서로 좋고 나쁘고의 개발방법론이 아니다.

PM의 Daily work: 1) 시장, 2) 고객, 3) 경쟁자. 우리나라 PM들은 시장 읽는 것, 특히 경쟁자 분석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고민해 봐야 한다. 융합되는 시대에 경쟁자 분석은 단순히 경쟁제품을 써보는 것이 아니라 보도자료도 읽고, 해당 분야 기술도 익히면서 상상력을 총 동원해서 경쟁자의 의도를 파악해야 하는 작업.

우선순위를 정해야 하는데, 이때 기준은 사용자의 가치(value)이다. 사용자에게 주는 가치를 기준으로 기능이나 기획을 평가해야 하고, 이는 타협 불가능한 것.

 

1장, 정의(Definition) 부터 시작. 그래야 책 설명의  Protocol이 맞음. 1.3의 B2B와 B2C는 만들고 있는 제품이 누구를 향하는지(2:to)에 대한 인식에 대한 이야기.B냐 C냐가 중요한 것이 아님. To의 지향점이라는 사실이 중요.

3장 고객개발은 비즈니스 개발(BD)과 다른 면을 주목해서 읽어보자.

5장 PM의 일상 업무. PO의 일상업무일수 있음. 5.4.5 우선순위 정하기는 방법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그 기반이 되는 Criteria를 어떻게 세우는가에 대한 이야기. 5.5 MVP에서는 Viable을 고민하면서 읽어보자. 사용자가 선택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MVP를 만드는 것. 결국 P(Product)는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래야 사용자가 선택. 이쁜 것만으로는 안된다.

6장 PMF(Product-Market Fit)에서 중요한 것은 Market이다. Market은 User 찾기임. 먼저 Market을 봐야 한다.KPI와 OKR 역시 Performance 중시 조직에서는 OKR이, Quality 중시 조직에서는 KPI방식이 적합

 


김영욱 PM이 전하는 이야기들이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 아냐라고 들릴 수 있지만, 그 기본을 일처리에 적용하는 것은 또다른 문제라 생각한다. 그 기본기를 잘 지키는 조직이 글로벌하게 성공하는 것 같다는 생각도 했다.(물론 기본기를 잘한다고 무조건 글로벌하게 성공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특히 단호하게 '제품은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실 때에는 평상시 생각들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서 공감이 확~ 되었다. 얼마전 업계 선후배님들과 식사자리에서 Junior PM이 존재할 수 있는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었는데, 그 부분 이야기도 살짝 나왔다. 비슷한 이야기를 나눴던 지라(편향을 가지고 내가 듣고싶은 대로 들었을 수도... :) 공감이 많이 되는 이야기들이 있었다.

 

책을 읽고 또 생각을 정리해 봐야겠다.

 

북 콘서트 이후 작은 음악회도 좋았다.(사진 출처: 책과얽힘 페이스북)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