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1/ 최근 GPT나 각종 AI 도구의 활용법을 다룬 서적을 자주 살펴본다. 나름 회사 내에서 익숙하게 여러 AI도구를  활용하는 편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래도 최근 이 분야에서 변화의 속도는 너무나 빠를 뿐만 아니라 중요한 것은 도구의 사용법 보다는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아는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직장인 업무 만렙 공략집

 

2/ 이번에 읽은 책은 한빛미디어에서 나온 <직장인 업무만렙 공략집>이다. 한마디로 GPT 활용서적을 한번도 읽어보지 않은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시라 권한다. AI도구는 대충 입력하더라도  답변이 그럴 듯하게 나오기 때문에 본인이 도구를 잘 활용하고 있는지를 여부를 잘 모를 수 있다. 자꾸 고수의 사용법을 훔쳐보며 흉내내고 나만의 사용 방식을 찾아야 한다. 골든래빗에서 나온 <이게되네, 챗 GPT 미친 활용법>책도 괜찮았다.

 

3/ AI 활용 서적을 읽다보니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현재 AI서비스의 근간을 이루는 Transformer 모델은 결국 빈 칸을 채워주는 것인데, AI가 채워줄 빈 칸을 잘 전달한다면 원하는 바를 잘 얻을 수 있지 앟을까? 이것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목적이지 않을까 생각했다. 이 책은 빈칸을 어떤 식으로 전달하면 AI가 내 의도를 잘 파악하여 빈칸(원하는 결과)를 채워주는지에 대한 골격(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보고서 작성시 역할-행동-상황-기대 프레임워크 써먹기

 

임무-행동-목표로 지시하기

 

4/ 이 책은 여러가지 활용 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있지만, 읽다보면 이 책이 업무 방법에 대한 내용인지 인공지능에 대한 이야기인지 헷갈린다. 회사에서는 보고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어떤 것을 고려해서 작성해야 하는지, 최종 문서의 구조는 어떤 모양이어야 하며, 잘 작성된 보고서란 무엇인지를 소개한다. 결국 사람에게 업무를 제대로 전달하는 방법과 비슷하다. 그래서 GPT에게 일을 시키는 방법을 배우다 보면 일을 잘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했다.

역할-도출과정-출력 형식-질문 프레임워크: 결국 JD를 적고 지시를 내리는 느낌으로 프롬프트 사용하기

 

5/ 책에서 소개된 경쟁사 제무제표 분석은 MCP를 활용해 봄직하다.라고 생각했는데 DART  MCP 서버가 이미 나왔다. 먼저 업무에 적용해서 활용하는 분들이 많다.

 

반복적인 작업은 GPTs로 - 부서별 성격에 맞게 GPTs 활용하기

 

6/  책을 읽다보니 프롬프트에 적는 '체계적' '창의적'이라는 단어는 AI에서 어떻게 동작할까 하는 궁금점이 생겼다.

 

반응형

아웃사이더님, 박재호님 등 국내에서도 IT 관련 뉴스를 정리하여 메일로 보내주시거나 웹사이트에 올려주시는 분들이 많다. 해커 뉴스 및 기타 새로운 소식을 모아서 올려주는 긱뉴스, 국내 개발자 블로그의 새글을 모아서 매일 보내주는 어썸데브블로그 서비스, SaaS 관련 소식을 전해주는 주간 SaaS도 있다. 이런 뉴스레터를 구독하는 것만으로도 트렌드를 파악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외국에도 비슷한 서비스들이 많은데, 그중 유명한 것이 오라일리의 레이더다. 하지만 영어이니, 읽기를 부담스러워하는 분들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사내에 영문 뉴스레터를 AI도구를 이용하여 한글 번역본으로 만들어 본 썰을 풀어보고자 한다.

 

제일 먼저 시도한 것이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 자체를 구글 번역기로 번역해 보았다. 브라우저에서 메뉴만 선택하면 되므로, 정말 편하다.


원문 브라우저에서 구글 번역. AI가 왜 일체 포함?

 

하지만 보다시피 구글 번역 사이트에 복붙하면 정상으로 나오는 번역 결과도  브라우저에서 구글 번역을 이용하면  이상한 결과물이 얻어진다. 못읽을 정도는 아니지만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많다. 우선 섹션명에서 망했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왜 AI가 일체 포함으로 번역되는지 모르겠다. (예전 구글 번역 처음 나왔을 때 아파치 웹서버 페이지를 인디언 부족으로 번역하던 게 생각나버렸다.)

 

그래서 떠올린 것이  DeepL이었다. 번역 전문 AI서비스이니 품질은 좀 낫겠지 하는 마음에 사용해 보았다.

품질은 조금 좋아지는 수준으로 느껴지지만, DeepL 웹사이트에 뉴스레터를 복붙하니 링크가 다 사라져 버린다. 그러면 뉴스레터의 가치가 떨어진다.

하지만 여기에서 멈출 수는 없지.  이번엔 웹페이지를 PDF 파일로 출력하여, 이를 DeepL에 번역을 요청하였다.

 

 

링크는 살아있지만, 문장이 외려 이상해 졌다. 링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문장을 온전히 번역하지 못하는 것 같다.

 

어쩌지 하던 바로 이 순간 문장을 잘 다루는  GPT가 생각났다.(전설의 요정이 나타나 아이디어를 주었다.)  GPT로  PDF 파일을 올리고 번역을 요청했다. 이때  최종 결과물에서도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  프롬프트에  마크다운 페이지를 만들도록 요구사항을 추가했다.

너는 IT분야 전문가야. 한달동안 IT 관련 소식을 모아둔 뉴스레터 PDF문서를 한글로 번역하고 싶어. 
전문 용어를 사용하되, 한글 문장이 매끄러웠으면 좋겠어.
한문장도 빠짐없이 번역해야 해. 링크는 유지하자.
최종 결과물은 마크다운으로 만들어 줘

꽤 쓸만한 결과물이 나왔다. 하지만 여러 섹션이 있는데, 하나만 번역을 완료하고 계속할지를 물어본다. 그래서 차례대로 진행하라고 시켰더니 단일 지시는 잘 수행했는데, 최종 결과물에는 각각 진행한 결과가 취합되어 있지 않았다. 각각 번역해서 최종 결과를 만들도록 프롬프트를 수정했다. 그리고 번역결과를 보니 영어단어를 쓰는 것이 좋은 단어들도 있어서 마지막에 영어 단어를 병기하도록 지시했다. 하나씩은 잘하는데, 전체적으로 못하는 것을 Lost in The Middle 라고 한다. (중간에 샛길로 빠지기)

서문, AI 등 앞에서 번역했던 분야들이 빠져 있어. 이것을 하나의 문서로 모두 만들자. 그런 다음 옆에 캔버스를 업데이트 해줘.
프로그래밍 분야에도 캔버스의 프로그래밍 섹션에 추가해 줘.
조금 낯선 용어, 아직 일반화되지 않은 언어는 괄호로 원 단어를 추가해 주면 좋겠어. 예를 들어 사용자 맞춤 발화 스타일 지시는 생소한 단어야

 

드디어 다 완성된 결과물을 확인했다.

이제 워드 파일로 만들어서 다운로드 했다.

캔버스 내용을 워드로 만들어서 다운로드 받고 싶어

 

왜 PDF로 바로 만들지 않고 워드 파일로 만들었냐고? GPT는 한글 PDF를 만들때 한글 글꼴 처리가 서툴다. 물론 글꼴 파일을 올리고 그 글꼴을 이용해서 작업하라고 지시할 수도 있지만, 번거로우니 워드 파일로 만들어서 PDF로 출력하는 것이 수월하다고 한다.(자세한 내용은 한빛미디어에서 나온 <챗GPT 일타강사의 직장인 업무 만렙 공략집>의 5장과 6장을 참고하시라.p.145) 며칠전에도 맑은고딕 글꼴을 따로 업로드하면서 PDF를 만들었다. 그럴바에는 차라리 워드로 내려받는게 속편하다. 워드로 내려받고 PDF내보내기를 수행한다.

최종 결과물이다. 훨씬 깔끔하게 뉴스레터가 정리되었다. 링크도 살아있다. 이제 사내에 공유했다!

몇번의 삽질로 최적의 방법을 찾았다. GPTs로 만들고 다음달부터는 그냥 PDF만 올리면 위 작업을 반복 수행하도록 해둔다.

레이더_4월.pdf
0.30MB

오늘의 삽질 끝!

 

참고서적:

 

챗GPT 일타강사의 직장인 업무 만렙 공략집

“챗GPT, 일 잘하는 직장인은 이렇게 쓴다” 대기업 출강 압도적 1위! 일타강사가 알려주는 챗GPT 완벽 활용법

www.hanbit.c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