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가 있을까? 네트워크는 ISO OSI 7계층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각 계층마다 주어진 역할이 있고, 그 역할을 담당하는 장비와 인프라들이 존재한다. 이 책은 인프라에 대한 아주 자세한 설명은 없지만, 기본적인 개념을 탑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책이다. 개발자라면 한번쯤 읽어두면 좋을 것 같은 내용이다. 개발자가 왜 인프라를 이해해야 하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인프라에 대한 이해없이 그 위에서 동작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까?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의 저자인 사노 유타카는 라인의 창업멤버이다. 선배 엔지니어로써 후배들에게 나누고 싶은 이야기를 책으로 잘 정리하였다. 일본 서적 특유의 느낌이 있는데, 간결하면서 요약된 지식이 잘 정리되어 있다. 저자는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매일 많은 의사 결정이 필요하고, 보다 정확하고 빠른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려면 책임감과 기술력, 정보 수집력 및 결단력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실무 경험의 중요성도 언급하고 있다. 일반적인 운영 조작은 이론으로도 통달할 수 있지만 장애 대응에 대한 경험을 무시할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요즘 나도 팀원들에게 의도에 대해 자주 이야기하는데, 저자는 솔루션과 보안을 검토할 때 '우리는 도대체 무엇을 보호해야 하는가'라는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이 없으면 솔루션 도입이나 보안 대책 자체가 목적이 되어버리면서 왜 그일을 하는지 모호해질 수 있다. 경험이 많은 엔지니어의 일갈이다.
그럼 기술력은 무엇일까? 기술력은 지식과 경험의 곱이라고 이야기한다. 맞는 말. 그래서 사이드 프로젝트 등을 진행할 때 무엇보다도 하나의 전체 과정을 경험해 보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 책은 인프라 엔지니어나 정보 시스템 담당자를 대상으로 쓰여졌지만, 개발자도 이 정도의 인프라 내용은 알아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얇지만 한번 일독을 강추한다. 책은 인프라 엔지니어의 역할, 서버, 운영체제, 네트워크, 스토리지, 서버 가상화, 클라우드, 구매 및 자산관리, 데이터센터, 각종 솔루션 및 보안, 인프라 운영, 대규모 인프라, 인프라 엔지니어의 커리어 로드맵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책의 예제 제품들이 일본 현지에서 사용되는 것인데,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내용이 조금 보완되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예를 들어 170쪽에 APAC 지역 각 나라별 클라우드 서비스 점유율이 나오는데, 우리나라는 빠져있다. 한국어판에서라도 보완자료가 제공되었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참고로 2025년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AWS가 40~45%, 애저가 28~34%, 구글이 5~10%, 네이버가 5~8%, kT가 2~5% 정도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용도 좋고, 번역도 깔끔하고,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0.잡담 > 0.1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실무로 통하는 웹 API/Web API Cookbook (0) | 2025.09.13 |
---|---|
책/MCP로 똑똑하게 일하는 법/제이펍 (0) | 2025.09.09 |
조코딩의 랭체인으로 AI 에이전트 서비스 만들기/한빛미디어 (3) | 2025.08.24 |
AI시대에도 가치있는 고전(?) 책들 (3) | 2025.08.17 |
비트코인 낙관론 (3)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