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잡담/0.1 책
책/잘 읽히는 보고서 문장의 비밀/임영균/한빛미디어
NeoZest
2025. 7. 6. 14:55
회사에서 문서를 참 많이 생성한다. 회사의 문서는 보통 상급자에게 읽혀지기 위해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문서의 틀과 구조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되는데, 이 책은 틀과 구조, 형식 대신 문서를 이루고 있는 문장에 촛점을 맞춰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보고서는 내용을 구조화하고 형식을 만들고 시각화해야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문장 기술을 통해 명확하고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해야 한다는 교훈을 새삼 되돌아보게 만든 책이다. 한동안 문장보다는 문서의 구조에 대해 고민했더니, 요즘은 문장이 눈에 거슬리던 참이었다.
이 책의 주제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수요자 중심의 글쓰기이다. 작성자 중심의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글을 읽을 사람을 중심에 놓고 어떻게 내용을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문장 기술을 예제를 통해 설명한다. 저자분이 느낀 잘못된 보고서 문장을 첨삭해 가면서 좀 더 좋은 문장으로 다듬는다. 물론 한번에 좋은 보고서 문장을 작성하게 되는 비책이라는게 존재하지는 않겠지만, 이 책을 읽고나면 적어도 기존 보고서를 읽으면서 그냥 넘겼던 문장들이 자꾸 눈에 거슬리게 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밑줄 쳤던 부분 중 몇가지만 소개해 본다.
"내 문법 오류를 줄이고, 상대방의 인지적 노력을 줄여주면서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장문보다는 간결한 문장이 좋다."( p.79) "'문장이 간결하다'는 것은 '문장이 짧다'라는 말과 같은 의미가 아니다. 단순히 짧은 것이 아니라 핵심은 담고 있으면서도 짧아야 한다는 뜻이다." (p.97) |
어디 문장뿐이겠는가. 개발자로서 내가 작성하는 코드도 마찬가지 아닐까.
"보고서는 고민의 과정을 공유하는 곳이 아니라, 고민의 결과를 공유하는 장이다. 고민했다면 결과는 단호해야 한다."(p./159) "생각이 많은 것은 득이지만, 정리가 되지 않으면 독이라는 말이 있다."(p.184) |
문서의 모습은 어떤 형태일지 모르겠지만 오늘도 회사에서 보고서, 위키 문서, 코드, 코드 변경 이력 등 문장으로 뜻을 기록하는 행위를 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보아야 할 책이라 추천한다.
반응형